[Academics] 도시사회혁신 전공(Urban and Social Innovation Major) 신설 안내 -2학기
- Date March 11, 2019
- Hit 547
1. 명칭: 도시사회혁신 전공(Urban and Social Innovation Major)
- 현행 : 환경계획학과 도시및지역계획학, 교통학, 환경관리학 3개 교과과정상 전공
- 변경 : 환경계획학과 도시및지역계획학, 교통학, 환경관리학, 도시사회혁신전공(신설) 4개 교과과정
2. 입학 정원: 4명
3. 신설 사유
가. 설립목적
○ 2015년 UN은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선언하면서, 지역커뮤니티와 관련한 여러 문제 (경제·사회문제, 환경문제, 빈곤, 교육 등 보편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임. 이를 통해 종국에는 회복력있고 안전하며 포용적인 도시커뮤니티를 구축하고자 함.
○ 현실에서의 도시 및 지역 커뮤니티 문제는 매우 복잡해지고 있으며, 도시재생, 교통 문제,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 문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지역 혁신 필요성 등 다양한 이슈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
○ 이에, 복잡다단한 지역 커뮤니티 문제를 인식·발굴하고 커뮤니티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도시사회혁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 환경대학원은 도시계획, 교통, 환경, 조경, 도시설계 등 도시와 관련한 포괄적인 분야에 심도깊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음.
○ 현대 사회가 양적 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가운데, 환경대학원은 지역 커뮤니티 문제에 보다 실천적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도시사회혁신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
○ 특히 도시재생 및 도시개발분야에 있어서는 대학 테두리를 넘어 커뮤니티와 직접 교류하며 사회 문제점을 발견하고 인지하는 한편 현실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 연구자와 학생들이 지역과 깊이 교류하는 가운데, 실무 역량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
○ 도시사회혁신전공은 지역 커뮤니티의 이익을 대변하면서 지역문제 해결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함.
○ 급증하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학문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독립적인 전문영역으로 도시사회혁신전공이 요구됨. 이는 환경대학원내에서 단편적으로 추진되었던 도시사회혁신 분야 연구와 교육을 보다 융합적으로 이끌 토대가 될 것임.
○ 2019년 2학기 현재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소속 교수 1인이 도시사회혁신 전공으로 소속을 옮기고 신임 교수 1인을 선발하며 이에 더해 환경계획학과 소속 교수 1인이 겸임으로 참여함으로써, 교과과정상 전공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임.
○ 이에 환경대학원은 환경계획학과 교과과정에 도시사회혁신 전공을 신설하고자 함.
나. 설립의 필요성
○ 도시사회혁신전공 개설은 서울대학교 내 교육 및 연구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커뮤니티 문제를 바라보고 분석하는 복합 사고능력과 문제 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 최근 공유도시, 스마트 도시, 무인자동차 도시, 기후친화 도시, 디지털 도시 등과 같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부상하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고령화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와 도시의 낙후, 제한된 정부 재정, 커뮤니티 이해관계자간 이해 충돌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혁신적 방안이 필요한 상황임.
○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 담론을 이해하는 가운데, 빅데이터와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시민 참여를 가능케 하고, 이해당사자간 갈등 조정능력을 갖추고, 지역 경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실무와 이론을 교육하는 도시사회혁신 전공 개설이 필요함.
○ 환경대학원 도시사회혁신 전공은 서울대학교 내 다른 교육기관 (예, 사회과학대학 등)과 협력을 통해 서울대학교 차원의 융복합 연구 및 교육을 지향할 것임.
4. 교육 목표
○ 도시사회혁신 전공은 시민참여를 통해 도시·사회·환경 문제를 발굴,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역량을 키워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사회혁신을 견인할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임.
○ 시민 참여와 갈등 관리 방법 및 도시·사회·환경 문제 전반을 다루며 문제 해결 방법론으로 디지털 기술 활용과 더불어 커뮤니티·환경디자인, 계획 및 개발, 금융 및 전략 등을 포함하여 실제 사회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넓은 시각을 갖추게 할 것임.
○ 도시사회혁신 전공은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 혁신과는 다르게 공공성의 관점에서 파급력 있는 사회혁신을 목표로 개개인의 전문성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어 졸업생들이 사회적 기업, 공유 기업, 민간 기업이나 사회적 경제를 창출하는 중간지원기관(민간, 공공기관), 도시재생지원센터, CDC(Community Development Corporation)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것임.
5. 학위 명칭
○ 도시계획학 석사(Master of City Planning in Urban and Social Innovation)
6. 참여 교수
- 전임 김태형 교수(환경계획학과), 신임교원(환경계획학과, 2019년 9월 임용 예정)
- 겸무 : 김경민 교수, 홍종호 교수, 장수은 교수(환경계획학과), 이유미 교수(환경조경학과)
7. 과정운영계획
가. 개요
○ 대학원 교육은 환경대학원 내에서 운영되어온 대학원 과정을 활용하고, 신설예정인 도시사회혁신전공 교육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운영함.
8. 개설시기: 2019학년도 2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