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생태문화적 땅 읽기 현장 워크샵

  • Date April 9, 2007
  • Hit 210
일정 : 4월 12일(목)

13:30 : 음식물재활용센터 앞 홍보전시관 집결
13:30-14:00 : 성종상 교수님 개요 설명
14:00-18:00 : 현장 워크샵
18:00- : 종합

장소: 서울시 강동구 고덕동 고덕천/ 고덕수변생태공원 일대

현장 코디네이터
성종상(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이도원(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A" 지형/물/바람 팀
박수진(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손정렬(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김석철(볼트 환경기술 연구소)/이삼희(한국건설기술연구원)

"B" 물과 생물 팀
조동길(넥서스 환경연구소)/김재근(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과)
오충현(동국대학교 산림자원학과)/박찬열(산림과학연구소)
류양선(고덕생태공원 현장)


진행

현장워크샵 : 2007년 4월 12일/ 4월 19일 총 2회 / 강동구 고덕동 일원

- 생태 문화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대상지를 답사하여 생태문화적 땅 읽기와 해석을 시도함.
- 생태 문화 요소들간의 상호관계와 연결 구조를 이해하면서 통합적인 시각에서 분석 이해할 수 있도록 생태문화적 상관성이 밀접한 분야를 묶어서 현장 답사 및 실습을 진행하도록 함
- 간단한 장치나 도구를 가지고 직접 측정하거나 몸으로 감지하는 실습 위주로 진행
- 토양단면/pH/경도/함수상태 등: 토지 유형별 미기후- 기온/ 바람/ 습도 등 측정
- 토양경도측정기, pH측정기, 삽 HOBO 거리측정기
- 수질측정기 등등


구성안

①지형과 지리 - 박수진 교수(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지리의 이해- 자연환경 및 인간활동의 총체로서의 지리
현장에서 지형 및 지리 이해하기
지형과 인간 정주공간 및 토지이용 패턴 사이의 상관성 읽기


②지형과 수문 ---------- 현장 튜터 이삼희 박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형의 이해 - 경관의 모태로서의 지형, 한국 국토경관의 기본 골격으로서의 지형 / 현장에서 지형 및 토양분석/ 해석하기
지형, 토양, 수문, 식생, 미기후 간의 상관관계 이해하기


③식생 : 초본/목본 - 김재근 교수(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과)
오충현 교수(동국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지형, 토양, 기후와 식생 간의 관계 / 대상지에서 식생 동정하기
식생으로 그 땅의 역사 읽기


④수문: 배수, 수문, 수환경과 수순환 - 조동길 소장(넥서스 환경연구소)
수문과 토양, 지형 및 식생과의 관계 /습지, 하천의 구조와 작동방식 이해
수환경과 수순환 체계의 이해


⑤동물: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곤충, 포유류
- 박찬열 박사(산림과학연구소) / 류양선 팀장 (고덕생태공원현장)
각 생물의 서식환경 / 생물체 간의 먹이사슬과 환경조건의 이해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습득 / 현장에서 읽는 생물과 서식 환경


⑥기후/ 미기후: 일조, 바람, 습도, 온도 - 김석철 박사 (볼트 환경기술 연구소)
대상지 환경구성인자로서의 미기후 조사 분석
대상지 환경특성(지형, 경사, 수문, 식생 등등)과 미기후와의 상관관계


⑦인간정주, 사회문화환경 - 손정렬 교수(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자연생태와 인간 정주환경 / 자연환경과 토지이용패턴


⑧地史(지사)와 컨텍스트 - 성종상 교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땅의 역사 / 주변과의 관계 / 지역성과 장소성


⑨ 경관생태 - 이도원 교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대상지의 경관생태학적 이해 / 대상지 경관의 생태적 짜임과 구조 파악


총괄 및 종합 - 이도원 교수/ 성종상 교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대상지 생태의 과정과 힘, 그리고 잠재력/ 가능성 읽기
대상지의 문화적 맥락 읽기 / 대상지 읽기 결과의 맵핑, 자료화
대상지 역사와 장소성의 발현/ 구축
설계의 단서와 과제의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