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성
도시 및 지역경제학, 도시경제론
학력
-
1993.02문학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1995.02도시계획학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1998.08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
2001.08Ph.D. (Dept. of City and Regional Planning, Cornell University)
주요경력
-
2016.02.02 - 현재서울시신속행정자문단 자문위원
-
2015.04.02 - 현재수도권정비실무심의위원회 위원
-
2015.03.01 - 현재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장
-
2015.02 - 현재한국지역학회지 ‘지역연구’ 편집위원장
-
2006.03.01 - 현재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교수, 부교수
-
2011.06 - 2013.06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환경최고위과정 주임 교수
-
2005.03.01 - 2006.02.28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부동산경영학과장
-
2003.03.01 - 2006.02.28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조교수
-
2003.03.01 - 2005.02.28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전임강사
-
2002.07.15 - 2003.02.28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경영연구부 부연구위원
-
2002.03.01 - 2002.08.31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강사
연구
김희석, 이영성, 2020.3. 서울의 빗장주거단지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지역연구 36(1): 3-16.
이영성, 김갑성, 이춘원, 권대중, 유현지, 윤형석, 김진, 2019. 12. 국토센서스 사업의 비용 및 편익 분석과 시사점, 지적과 국토정보, Vol.49. No. 2: 23-38
이영성, 이중근, 박희태, 김현수, 2019.11, 사회계정행렬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추정, 국토계획 54(6): 89-99
이영성, 이동수, 성종상, 조병희, 신혜란, 2019.4., 사물인터넷기반 환경정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추정, 도시정책학회지
이영성, 2019.2, 남북 산업혁명의 방향과 도시·지역의 혁신, 북한토지주택리뷰 3(1): 21-27
기정훈, 박순애, 이영성, 이영미, 2019.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for the Executive Agent of Environmental Affairs and National Policy Tasks, J. People Plants Environ. 22(3): 241-253, June 2019
이영성, 2018.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 그리고 도시의 혁신, 도시계획家 4(2) Winter: 5-7
최충익, 박순애, 이영성, 기정훈, 김철민, 2018.9.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환경사무의 사회적 평가, 환경정책, 26(3): 31-55
이희연·이영성. 2017. 9. “맞춤형 빈집 활용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교신저자)
김민재, 이영성. 2017.6. “공원녹지 편익의 외부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111-132 (교신저자)
이영성・김갑성・정해영・김진, 2017, 한국형 공간정보시스템 도입의 간접적 편익에 관한 분석, 「지역연구」, Vol.33(2)
이영성, 2017,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와 경쟁력 확보방안, 「지역연구」, Vol.33(1): 59~68
김민재·이영성, 2017, 공원녹지 편익의 외부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29(2): 111~132
유현지‧이영성(2017), 금융위기 이후 지역 차이를 고려한 소득계층별 자가가구의 주택자산효과분석. 「국토연구」, Vol. 92: 3~20
이영성·김민재, 2016, 소프트웨어 기반의 지역 혁신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51(5): 277~287
기명성·이영성·김민재, 2016,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의 지불용의액 추정에 관한 연구, 「농촌경제」, Vol. 39(3): 123~142
이영성·문흥안·김갑성·김민재, 2016, 북한 지역 지적측량원도 디지털화의 편익추정, 「지역연구」, Vol. 32(2): 3~13
이영성·조준혁·문주열, 2016, 쇠퇴하는 곳은 계속 쇠퇴하고, 번성하는 곳은 계속 번성하는가?, 「지역연구」, Vol. 32(1): 51~66
문흥안·이영성·김갑성, 2016, 북한지역 지적측량원도의 법적 평가와 활용방안 연구, 「일감법학」, Vol. 25 (1): 1~29
김민재·이영성, 2015, 선택실험범을 활용한 부산김해경전철의 선택가치 추정, 「국토연구」, Vol. 87: 81~95
이영성·정해영·유현지·김경민, 2015, 초·중·고등학생들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특성, 「지역연구」, Vol. 31(3): 111~128
김현정·조준혁·손준익·이영성, 2014, 지역방재사업에 대한 주민인식과 효용추정, 「지역연구」, Vol. 30(4): 21~36
김예지·이영성, 2014,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학업성과와 아파트 가격 사이의 상호 작용, 「국토계획」, Vol. 49(5): 51~64
조준혁·이영성·정해영·곽태우, 2014, 쇠퇴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건강도 쇠퇴할까?, 「국토계획」, Vol. 49(5): 109~125
이영성·김용욱·박준영, 2014, 지방정부의 비교경쟁에 따른 재정지출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사회개발비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Vol. 30(3): 27~50
이영성·김용욱·김승현, 2014, Does SOC (Social Overhead Capital) help economic development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South Korea?, 「지역연구」, Vol. 30(3): 89~108
Lee Young Sung, 2014, Competition, wage, and agglomeration diseconomy,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SSCI, published online 8 August 2014, http://irx.sagepub.com/content/early/2014/08/07/0160017614542338.refs.html)
조준혁·이영성, 2014, Uncertainty of population volatility and regional governments’ SOC investment decisions, 「지역연구」, Vol. 30(2): 67~86
김용욱·이영성, 2013, 이웃한 지방정부들의 비교경쟁과 사회개발비 지출의 동조화, 「지역연구」, Vol. 29(3): 3~18
김예지·이영성, 2013, 우리나라 광역시·도의 서비스업 고용비중 결정 요인, 「지역연구」, Vol. 29(1): 33~47
이영성·김예지·김용욱, 2012, 우리나라 사회간접자본 스톡의 경제적 효율성에 관한 재평가, 「지역연구」, Vol. 28(3): 83~99
김예지, 이영성. 2010.12. “제조업과 서비스업 사이의 상호작용.” 지역연구 26(4): 17-32.
이영성, 김예지, 김용욱, 2010,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 13(2): 1~11.
손준형·이영성·강민규, 2010, 우리나라 중앙정부 재정시스템이 지역간 소득재분배와 지역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Vol. 26(2): 19~39
이영성, 2009, 사회개발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Vol. 25(3): 5~23
이영성, 2009, 인구, 총일자리, 산업별 일자리 사이의 인과관계, 「국토연구」, Vol. 62: 3~20
김갑성·허재완·이영성, 2009, 시화 MTV 프로젝트의 경제성 분석, 「지역연구」, Vol. 25(2): 131~146
이영성, 2008, 고령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Vol. 43(7): 7~16
이영성, 2008, 우리나라 광역시・도의 총요소생산성과 결정요인, 「국토연구」, Vol. 58: 39~53
이영성·허재완·김갑성, 2008, 시화멀티테크노밸리사업에 따른 환경손실의 경제적 가치 추정, 「국토계획」, Vol. 43(1): 235~243
이영성, 2007, 기반시설확충을 위한 부담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Vol. 31: 119~133
이영성·김운수·황기연, 2007, 청계천복원에 따른 환경편익의 사회적 집단별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Vol. 8(3): 105~115
이영성·이정전, 2007, 토지세와 재산세의 운용에 대한 소고, 「환경논총」, Vol. 45: 75~96
이영성, 2005, 기반시설부담금의 이론과 제도운용, 「환경논총」, Vol. 43: 375~387
이영성·허재완·김갑성·정우형·김현수, 2005, 개발권양도제의 해외 사례에 관한 심층 고찰, 「국토계획」 Vol. 40(6): 117~133
이영성, 2005, 기반시설부담금 제도가 주택공급과 주택가격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40(5): 59~73
김현수·정우형·허재완·이영성·김갑성, 2005, 개발권양도제의 제도화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40(5): 7~23
김갑성·허재완·김현수·정우형·이영성, 2005, 개발권양도제도의 도입을 통한 농업진흥구역 보전의 타당성 분석, 「지역연구」, Vol. 21(2): 165~188
이영성, 2005, 도시개발과 지역경제활성화, 「도시정보」, Vol. 279: 114~127 (특집: 도시성장관리와 도시개발)
이영성, 2005. 4, Socio-economic factors driving fiscalization of land use control.” 「International Seminar on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중앙대, 미국 클리브랜드 주립대,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국제학술세미나 논문집)」
이영성·이명훈, 2005, 공공-민간의 복합개발 프로젝트파이낸싱과 자산유동화의 결합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Vol. 44: 71~86
이영성, 2005, 최적성장관리이론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40(1): 7~18
이영성, 2004, 사회간접자본확충을 위한 지방정부의 재정수단선택과 지역경제효율성에 관한 실증 연구, 「국토계획」, Vol. 39(4): 105~118
이영성, 2004. 5. 29. 지역별 세율조정의 경제적 효과, 「옳은 생각(www.r-thinking.org)」, (인터넷매체를 통한 고등학생용 교과서)
이영성·박년배·김태한, 2004, 선택모형(choice modelling)을 이용한 환경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39(3): 165~177
이영성·황기연, 2004, 환경복원정책의 비용과 편익, 「한국행정학보」, Vol. 38(2): 167~182
이영성, 2003, 하천복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도시문제」, Vol. 38(418): 21~28
Lee Young sung, 2002, Local financial instruments for urban growth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국토연구」, Vol. 34: 171~183
Lee Young sung, 2002, New challenges to Korean development control and future reforms, 「감정평가논집」, Vol. 12(2): 129~142
Lee Young sung, 2002, Local motivations for development impact fees as financial instruments for managing new real estate development and urban growth, 「국토계획」, Vol. 37(4): 241~258
Lee Young sung, 2002,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efficiency of development impact fees for managing urban growth,「지역연구」 Vol. 18(2): 93~117
Lee Young sung, 2001, 『Local government choice of financial instrument for growth management: A new perspective on motiv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최상철·이영성, 1998, 통일 후 북한지역에서의 토지소유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Vol.14(2): 1~33
이영성, 1995, 『불량주거지의 개선에 있어서 주택개량재개발사업과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
프로젝트
교통연구원, 2019, “한-베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협력센터 설립 타당성 조사 보고서” 의 적정성 검토 (연구책임)
델리아이, 2018, 휴대폰 업사이클링을 통한 스마트시티 프로그램의 사회적 편익 추정과 BTL 사업화 방안 연구”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NIPA국가디지털전환과제) (연구책임)
성동구, 2018, 성동구 스마트포용도시 추진을 위한 학술연구용역 (연구책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8. 지목체계 개선사업 타당성 분석을 위한 CVM 조사연구(공동연구)
기술과 가치, 2018, 공간정보 R&D 기획 타당성 연구」의 경제적 타당성분석 용역(연구책임)
공간정보연구원, 2017, 공간정보를 활용한 빈집 개념 정립 및 활용 연구 (연구책임)
국회. 2017. 도시재생 통합예산제 도입 및 사례연구 (공동연구)
통계청. 2017. 사회동향보고서(공동연구: 주거 부문 담당)
서울특별시. 2017. 용산전자상가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공동연구)
경기연구원. 2017.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의 실효성 평가와 향후과제 (공동연구)
서울연구원. 2017. 대도시권 도시계획의 부재와 문제점(수도권 미래 발전을 위한 포럼)(공동연구)
국토공간정보연구원. 2017. 지목체계 개편에 따른 사업타당성 연구 (연구책임) (지역학회수행)
토지주택공사. 2017. 도시재생의 통합적 실현 방안 연구 (공동연구)
서울연구원. 2017. 서·평양 통합 경제권 연구 (공동연구)
토지주택공사. 2017. 도시개발법 개정 연구 용역 (공동연구)
서울대학교. 2017. 나 홀로 또는 함께: 산업단지의 회복력 있는 건강한 미래 찾기 (서울대 학교 교내 융복합 연구 지원 사업-연구책임).
환경부, 2017, 환경정책 이행성과 제고방안 연구 (공동연구)
서울시, 2017, 서울시 광역도시계획 (공동연구)
지역발전위원회·LH공사, 2017, 지역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국공유지 개발 및 활용전략 연구 (공동연구)
LH공사, 2017, 新사업모델 개발 및 사업특화 방안 도시개발법 개정 연구 (공동연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7, 행복도시 건설의 국가적 의미와 효과분석 연구 (공동연구)
고양도시관리공사, 2017, 통일한국 실리콘밸리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연구 (연구책임)
고양시, 2017, 통일 한국 실리콘밸리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공동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2017, 도시재생사업에서 조세지원제도 개발 및 사업성 향상 방안 도출 연구 (연구책임)
전라남도·순천시, 2017, 순천시 스마트시티 구축 기본계획 수립 및 기획과제 발굴 (공동연구)
LX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7, 지목체계 개선에 따른 사업 타당성 연구 (연구책임)
서울연구원, 2016, 장래 남북한 통합경제권 형성에 대비한 서울 평양 상생발전의 필요성과 전략 (공동연구)
서울대학교, 2016, 교내 융복합 연구 지원 사업, 나 홀로 또는 함께, 산업단지의 회복력 있는 건강한 미래 찾기 (연구책임).
고양시, 2016, 고양시 신전략산업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책임).
미래창조과학부, 2016, 고양 IoT 실증단지 조성사업 (공동연구).
지역소프트웨어산업발전협의회, 2016, ICT·SW융합 지역사회 문제해결 (공동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2016, 고양 00지구 기본구상 및 타당성 검토 용역 (공동연구).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한국형 공간정보시스템(KLIS) 기술기반 연구 (공동연구. 편익 분석 담당).
한국토지주택공사, 2016,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방법론 개발 및 평가기준 수립 연구 (공동연구. 편익 분석 담당).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5,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지역 확산 전략 (연구책임)
고양시, 2015, 고양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 전락(연구책임).
서울연구원, 2014, 서울역고가 재활용의 사회적 비용 편익 분석 및 보행자 공간화에 따른 보행네트워크 평가 (공동연구. 편익 분석 담당).
교통연구원, 2014, 지역발전을 위한 교통인프라 정책 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가운데 ‘교통 인프라 투자의 지역 발전 영향 분석’ 집필).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4, 북한 지역 디지털 국토정보 구축사업의 타당성 연구 (공동연구).
고양시, 2012, 고양시 주요 민생경제정책 파급효과 추정 연구(연구책임-환경계획연구소)
국토해양부, 2010, 도시쇠퇴 실태 자료구축 및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도시쇠퇴 실태 자료구축 (공동연구-환경계획연구소)
강남구, 2009, 미래강남 도시발전계획 (공동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토지공사, 2009, 영종지구 활성화방안 연구 (공동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해양부, 2010, 도시쇠퇴 실태 자료구축 및 종합정보시스템 구축-도시쇠퇴 실태 자료 구축 (공동연구-환경계획연구소)
국토해양부, 2009, 도시재생사업-도시쇠퇴 실태조사 및 해외 도시재생시스템 조사분석 (1단계-3차년도) (공동연구-환경계획연구소)
서천군, 2008, 어메니티서천 혁신마케팅사업을 위한 연구기관 연계 연구용역 (공동연구- 환경계획연구소)
관악구, 2008, 관악구 장기비전 전략계획 (공동연구-환경계획연구소)
강동구, 2007, 강동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환경정책 연구 (공동연구-환경계획 연구소)
재정경제부, 2007,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 통합 마스터플랜 수립 (공동연구-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천군, 2007, 장항산단 관련 방안별 개발방안에 관한 전문가 의견 검토 연구용역 (공동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충남도청, 2007, 충남도청 이전신도시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위한 기본구상 수립 등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주택공사, 2007, 대전서남부 택지개발지구 복합단지 개발 PF 사업 타당성 검토(공동 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수자원공사, 2006.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의 시화MTV 사업 개발검증 용역보고서 (공동연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경기도 가평군, 2004.10~2005.6, 경기도 가평군 소도읍개발 계획 (공동연구-중앙대 산학 협력단)
한국토지공사, 2004, 도시계획규제 손실보상을 위한 개발권양도제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주택공사, 2004, 복합주거단지건설을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싱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연구원, 2004.3, 신행정수도 산업활성화를 위한 산업클러스터 육성 및 지역혁신체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중앙대 산학협력단)
농촌진흥청, 2003.12, 농촌진흥청사 이전의 타당성 검토 및 이전계획수립 (공동연구-중앙 대 산학협력단)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6, 청계천복원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사회적 비용․편익 부문 (연구책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12, 관광정책의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책임)
산림청, 1996.12, 광릉시험림의 보존대책과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연구보조-환경계획연구소)
감사원, 1993.12, 건축부조리 실태 및 방지에 관한 연구 (연구보조-환경계획연구소)
출판물
-
2006.03「성장관리의 이론과 실제」 (공저), 동서문화사
-
2015.8.토지이용계획론(공저), 보성각
-
2016.11.한국의 사회동향 2016 (공저). 통계청
-
2017.11.한국의 사회동향 2017 (공저), 통계청
-
2017. 11.지역개발론(공저: ‘지방재정’ 집필), 박영사
-
2018.9.지역·도시정책의 이해(공저), 홍문사
-
2019.12.Transforming the Nation(공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KRIHS
-
2020.3.지방분권시대의 환경정책 – 성과관리의 권한과 책임 (공저), 문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