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설계학과 석사과정 수료요건
1. 기본요건
최소등록학기: 4학기 (최대 8학기까지 가능)
이수학점: 33학점(학기당 최대 12학점)
평균평점: 성적평균 3.0 이상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어성적 + 논문제출자격시험 합격
※ 영어성적은 아래의 기준을 따름
2023학년도 이전 입학생(2022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적용)
: New TEPS 298점 = TEPS 551점 = TOEFL IBT 79점 이상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2023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적용)
: New TEPS 298점 = TEPS 551점 = TOEFL IBT 88점 이상
[논문제출자격시험]
*논문제출자격시험: 3학기 이상 등록, 18학점 이상 이수 후 응시가능, 매학기 초 (1학기: 3월, 2학기:9월)에 진행
*논문제출자격시험 면제요건(※참고 1), 2)의 경우 지도교수를 교신저자로 올린 경우만 면제. 단독으로 게재 및 발표한 경우 면제되지 않을 수 있음)
*논문제출자격시험 면제를 위해 투고한 내용 및 주제는 학위논문과 상이해야 함
- 전국 규모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경우 학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논자시 면제
: 주저자 또는 제1저자에 한하며, 국외학술지 또는 국내학술지 중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속해야함 -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한 경우 학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논자시 면제
: 주저자 또는 제1저자에 한하며, 국외학술지 또는 국내학술지 중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를 발간하는 학회가 매년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학술대회에서 논문 구두발표 - 전국 규모의 설계공모전에서 입상을 한 경우 학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논자시 면제
: 참여자 3인 이내, 3등 이내의 당선작에 한하며, 국내 및 국외 설계공모로 조경, 도시, 건축 등의 설계분야에 속해야 함 그 외 기타사항은 학사위원회에서 결정
2. 이수학점 구성
공통필수
- 대학원논문연구 필수이수.
- 「환경계획·설계」또는 「지속가능성: 현안과 도전」 중 1과목을 반드시 이수
- 대학원 공통역량교과목 [연구윤리] 3학점 필수 이수 (공통역량교과목 최대 6학점까지 이수 가능), 단 환경설계학과 전공 교과목으로 인정하지 않음(2022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적용)
전공이수학점
2021학년도 이전 입학생 (2020학년도 2학기 입학생까지 적용)
: 환경설계학과 개설교과목 17학점 이상 이수 (대학원 논문연구 3학점 포함 가능)
-17학점 중 환경조경학전공, 도시환경설계전공 중 택1을 하여 해당하는 전공 교과목 6학점 이상 이수, 전공 선택은 세번째 학기 말에 진행.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2021학년도 1학기 입학생부터 적용)
: 환경설계학과 개설교과목 15학점 이상 이수 (★대학원 논문연구 3학점 불포함)
-15학점 중 환경조경학전공, 도시환경설계전공 중 택1을 하여 해당하는 전공 교과목 6학점 이상 이수, 전공 선택은 세번째 학기 말에 진행.
스튜디오 수업
8학점 이상 반드시 이수
- 당해 학기 스튜디오 미이수시 장학금에 불이익이 갈 수 있음.
- 스튜디오 미이수에 관한 사유서를 제출할 경우 지도교수와 학과장의 승인을 통해 스튜디오 교과목 4학점을 감면받을 수 있음.
기타
타대학원 취득학점: 최대 10학점 인정
-환경대학원 공통교과목과 환경조경학과 소속 교수가 진행하는 협동과정조경학전공·협동과정도시설계전공·환경계획학과, 대학원 공통역량교과목 수업은 타학과 취득학점에서 제외한다. (학과 내규 6조4항)
학부전공 취득학점: 석사, 박사과정 전체 기간동안 학부 전공교과목 최대 6학점 인정
-단, 본인 전공과 관련된 학부 전공과목만 인정, 한학기에 3학점씩 인정가능, 교양 교과목은 인정하지 않음.
※ 본 대학원 교과목 및 타학과 교과목, 학부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수강신청 전에 지도교수 또는 학과장의 사전지도 및 승인을 받아야 하며, 해당 서식을 학과사무실에 제출
3. 학위논문
논문제출자격
논문제출자는 수료소요학점을 취득한 자로서, 논문제출자격시험을 통과하여야 하고, 기준점 이상의 영어성적(TEPS 또는 TOEFL)을 제출(환경대학원 행정실)하여야 함.
- 과정수료자(예정자 포함) 및 동과정 3학기 이상 등록하고 직전 학기까지 21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논문제출자격시험을 응시할 수 있음.
- 논문제출자격시험은 매학기 초 응시원서 접수. 1학기는 3월 말, 2학기는 9월 말 즈음에 시험을 실시하며, 자세한 일정은 게시판 및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영어성적은 TEPS 298점 이상(TOEFL IBT 88점(2023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79점) 이상)이어야 논문 제출 가능하며, 논문심사가 진행되기 전 (1학기의 경우 3월 초, 2학기는 9월 초) 반드시 충족하여야 함.
- 논문 제출 기한
- 석사과정 : 과정 수료 후 4년 이내( <학위논문제출연장신청서>를 제출한 경우 추가 2년 연장 가능)
- 박사과정 : 과정 수료 후 6년 이내(<학위논문제출연장신청서>를 제출한 경우 추가 2년 연장 가능)
구분 | 교과목 명칭(학점) |
---|---|
학과공통 | 도시오픈스페이스계획과설계(4) 역사속의 환경설계(3) 가상경관 설계기법(3) 환경보전과관리(2) 경관의 역사(2) 도시공원계획과 관리(2) 마을 공동체 재생(3) |
환경조경학전공 | 광역조경계획(4) 재식설계(4) 여가공간설계(4) 정원 설계(4) 환경설계와 디지털 미디어(3) 생태과정과 디자인 워크샵(3) 환경모니터링과 평가(3) 환경·생태계획(3) 조경식물소재(3) 경관의해석(3) 문화와공간행태(3) 경관체계분석 세미나(3) 조경공학워크숍(3) 조경세미나(2) 생물다양성과 환경계획(2) 커뮤니티 참여디자인 방법론(3) 조경공간·형태 설계스튜디오(4) |
도시환경설계전공 | 커뮤니티계획과설계(4) 도시재생 스튜디오(4) 환경설계 스튜디오(4) 단지설계(4) 도시공간 연구 스튜디오(4) 도시설계리빙랩(4) 도시경관시스템 스튜디오(4) 문화환경세미나(3) 도시설계의 과제와 방법(2) 도시장소와도시건축(2) 도시환경 연구설계의 이해(2) 정량적 도시환경 연구 방법론(3) |
논문제출자격시험 면제
다음 각호의 사항을 이수한 학생은 환경대학원 학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논문자격시험이 면제된다.
- 전국 규모의 학술지에 논문 게재한 경우(주저자 또는 제1저자)
- 전국 규모의 학술대회 논문 발표한 경우(주저자 또는 제1저자)
- 전국 규모의 설계공모전에서 입상을 한 경우(참여자 3인 이내, 3등 이내 당선작에 한함)